본문 바로가기
상담심리학

로저스의 인간중심상담

by 담소꾼 2023. 9. 14.

인본주의 심리학의 권위자 로저스의 이론은 비지시적 상담에서 인간중심이론으로 발전되어 왔습니다. 그의 이론은 체계적이고 과학적이기보다는 상담경험에서 비롯된 인간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인간중심적 접근은 상담 및 심리치료 분야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본문에서는 로저스의 인간중심이론의 인간관, 주요 개념, 상담목표와 기법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합니다.

1. 인간중심이론의 인간관

로저스는 기존의 심리학 이론들이 주장했던 인간이 비합리적이고 비사회적이며 비관적이라고 여겼던 부정적인 관점을 거부했습니다. 인간은 선천적으로 선한 존재로, 삶의 주체로서 '자기실현 경향성'을 가지고 태어나서 스스로 자신의 인생 목표와 방향을 결정하고 자신의 문제를 이해하며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보았습니다. 다만 인간이 부정적으로 변화하게 된 것은 부모나 사회적 환경과 같은 외부적인 영향이 가하는 '가치의 조건화'에 의해 이러한 실현화 경향성이 방해받기 때문인 것으로 본 것입니다. 로저스가 '경험은 나에게 최고의 권위'라고 이야기했듯, 인간중심접근에서는 인간을 가치로운 존재로 여겼습니다. 정신적으로 건강한 사람은 모든 경험에 대해 개방되어 가치화 과정을 이루어갑니다. 인간은 가치로운 존재인만큼 가치 지향적인 목적에 따라 총체적으로 행동합니다. 로저스가 '인생은 고정되지 않은 지속적인 변화의 과정'이라고 이야기했듯 인간은 '되어가는 과정'으로 존재하는 것입니다.

2. 인간중심이론의 주요 개념

● 유기체: 로저스는 인간의 행동을 단편적으로 분석하지 않고 전체로써 기능하는 개인이라는 관점에서 이해하려 했습니다. 모든 신체가 상호 연결되어 있으므로 어느 한 부위에 자극이 가해지면 전체적인 기능에 반응이 온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인간은 전체로써 현상적 장을 경험하고 지각한다고 보았습니다.

● 현상학적 장: 개인이 특정한 순간에 개인이 지각하고 경험하는 모든 것으로, 현상학적 장을 통해 그 경험을 지속적으로 와 탐구하고 개인의 감정과 생각을 자유롭게 표현하고 받아들일 수 있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이를 통해 개인은 자신의 내적 세계를 탐구하고, 자기 자신을 더 깊이 이해하며 자아실현을 향해 나아갈 수 있습니다.

● 자아와 자아개념: 자아는 끊임없이 변화하는 실체라는 점에서 과정으로서의 자아를 강조했습니다. 자아는 조직화되고 상황이 변함에 따라 끊임없이 형성되는 과정에 있는 것입니다. 자아가 변화하지만, 통합되고 조직화된 특성을 가진 자아개념을 유지합니다. 자아개념은 현재 자신이 어떤 존재인가에 대한 개인의 개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상적 자아는 개인이 가장 원하는 자아개념이라고 할 수 있고, 개인이 높게 가치를 두는 지각과 의미를 포함합니다. 

● 실현화 경향성: 자유의지로 본인이 자아실현을 하려는 경향성으로 유기체가 가진 실현화 경향성은 타고난 것이라 했습니다. 인간은 적응하고 성장하기 위해 잠재력을 발휘하며 노력하고, 그 과정에서 고통이 수반되더라도 이를 극복해 나갈 수 있는 성장지향적 유기체입니다. 

● 충분히 기능하는 사람: 자신의 자아를 완전히 자각하는 사람으로서 경험하지 않은 일에 두려움 없이 도전적이고, 매 순간에 자유롭게 충실한 삶을 살아가며, 자기 존중감이 높은 사람이라고 정의했습니다.

3. 인간중심이론의 상담목표

내담자 자신을 더 잘 이해하고 받아들이며 자아실현을 이루는 것을 목표로 둡니다. 자아개념을 긍정적으로 형성하도록 지원하고 자기 주도적으로 행동하고 자신의 가치관과 목표에 따라 더 나은 선택을 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상담자는 내담자 개인의 내면세계를 더 잘 이해하고 공감하며 이를 통해 심리적 치유와 성장을 촉진하여 더 나아가 충분히 기능하는 사람이 되도록 돕는 것입니다.

4. 인간중심이론의 상담기법

● 일치성: 상담자는 상담과정에서 개방적이고 진솔해야 하며 있는 그대로의 자신이 되려고 해야 합니다. 내담자와 부정적인 감정도 자유롭게 공유할 수 있을 정도로 진실한 관계를 형성하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내담자와 인간 대 인간의 만남을 가능하게 한다면 상담자가 내담자의 본보기가 될 수 있고 상담자의 일치성은 내담자의 자기 탐색을 촉진합니다.   

● 무조건적 긍정적 존중: 상담자는 조건 없이 내담자를 하나의 인격체로 진실하게 돌봐주는 것을 의미합니다. 상담자의 따뜻한 수용은 실현화 경향성을 가진 내담자가 잠재력을 발휘하여 스스로 자아 탐색을 하고 자기 성장을 하도록 촉진합니다.  

● 공감적 이해: 상담자가 내담자의 감정에 매몰되지 않으면서 자신의 감정인 것처럼 느끼는 것을 의미합니다. 상담자는 내담자가 말하고 행동하는 것에 주의를 기울이며 적극적으로 경청합니다. 그리고 내담자의 시선에서 내담자의 주관적으로 경험하는 내적 감정을 정확히 이해해야 합니다. 

 

로저스는 인간을 성적 본능에 의해 지배받고 결정론적으로 보는 프로이트의 인간관을 부정했고, 정신분석이 해석 중심이며 지시적 접근이라 비판했습니다. 인간은 주관성을 가지고 있고 세상에 단 하나밖에 없는 존엄성을 가진 긍정적인 존재로서 끊임없이 변화하고 성장하는 존재로 보았기 때문입니다. 어쩌면 세계대전이 끝난 직후 황폐한 시기, 인간의 본질의 중요성을 깨닫게 되는 시대적인 상황도 반영되었을 것으로 보입니다. 이때부터 내담자의 치유보다는 자기실현 촉진이라는 비의학적이고 인간중심적인 개념사용이 활발해진 것 같습니다. 

로저스의 이론은 상담자와 내담자 사이의 동등하고 따뜻한 관계의 중요성을 강조하여 내담자의 내적 성장과 발전을 돕습니다. 개인이 주체적으로 선택하고 행동하는 능력을 발전시킬 수 있도록 했습니다. 하지만 개인의 내적 경험과 감정을 중심으로 한다는 점에서 측정의 어려움이 있다는 것과 심리검사와 같은 객관적인 정보를 사용하여 내담자의 성장을 도와주는 면이 부족합니다. 또한 상담자의 역할이 중요하지만 상담자의 인격이나 됨됨이를 검증하기란 쉽지 않음을 한계점으로 들 수 있습니다.